켈트 기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켈트 기독교는 켈트어 사용 지역의 기독교를 지칭하는 용어이나, 시대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어 왔고 현대 학계에서는 '켈트 교회'의 존재를 부정하는 등 논쟁이 있다. 19세기에는 켈트 민족의 독자적인 기독교 전통이 있었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현대 학자들은 켈트 기독교라는 용어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며, 지역별 교회 전통의 차이와 로마 가톨릭과의 관계 등을 강조한다. 켈트 기독교에 대한 인식은 잉글랜드 종교 개혁, 낭만주의, 뉴에이지 운동 등 다양한 사상적 흐름의 영향을 받았으며, 웨일스,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등 각 지역에서 독자적인 기독교 전통을 발전시켰다. 켈트 기독교 부흥 운동은 중세부터 시작되어 현대까지 이어졌으며, 한국에서도 켈트 문화에 대한 관심과 함께 켈트 기독교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켈트 기독교 - 켈트 십자
켈트 십자는 켈트 문화권에서 기원한 고리 십자가의 한 형태로, 기독교 상징과 켈트 문화 및 정체성을 나타내지만, 현대에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켈트 기독교 - 브리지다
브리지다는 '높고 숭고한' 의미의 켈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아일랜드의 성인이자 '게일인의 마리아'로 불리며, 킬데어 수도원 설립, 기적, 2월 1일 축일, 다양한 분야의 수호 성인, 지명 및 대중문화 속 등장 등 다양한 면모를 지닌다. - 켈트족 -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는 유럽 북서부에 위치한 그레이트브리튼섬 북부의 국가로, 1707년 잉글랜드와 연합하여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을 형성했으며, 1999년 스코틀랜드 의회가 재개되어 자치 정부를 운영하고, 서안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석유, 금융 서비스, 위스키 생산 등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켈트족 - 아일랜드인
아일랜드인은 아일랜드 섬을 기원으로 하는 민족 집단으로, 다양한 민족의 영향을 받아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근세 이후 전 세계로 이주하여 아일랜드계 이민 공동체를 형성했다. - 민족에 관한 - 범이슬람주의
범이슬람주의는 인종과 민족을 넘어 전 세계 무슬림의 단결을 추구하는 사상으로, 이슬람의 가르침과 초기 칼리파 시대를 이상으로 삼으며, 역사적으로는 18세기부터 이슬람 부흥 운동의 일환으로 나타나 근대적 형태로 발전했다. - 민족에 관한 - 앵글로색슨족
앵글로색슨족은 5세기경 브리튼 섬에 정착한 게르만족 앵글족, 색슨족, 주트족으로 형성된 민족 집단으로, 고대 영어를 사용하며 여러 소왕국을 건설하고 웨섹스 왕국으로 통일되었으나, 노르만 정복 이후 지배가 종식되었지만 그들의 언어와 문화는 현대 영어와 영국 문화의 기반이 되었으며, "앵글로색슨" 용어는 영어권 국가들과 문화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역사적 정확성과 정치적 함의에 대한 논란이 있다.
켈트 기독교 | |
---|---|
지도 | |
주요 정보 | |
종류 | 기독교 |
지역 | 켈트족 거주 지역 (주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브르타뉴, 콘월) |
시기 | 초기 중세 시대 |
특징 | |
수도원 문화 | 수도원 중심의 신앙생활 강조 |
독특한 전례 | 독자적인 전례와 전통 발전 |
성인 숭배 | 지역 성인과 순례자 숭배 강조 |
예술 | 독특한 켈트 예술 양식과 결합 |
삼위일체관 | 성부, 성자, 성령을 얇은 형태로 결합한 독특한 삼위일체관 |
역사 | |
기원 | 5세기경 아일랜드에서 시작, 이후 주변 지역으로 확산 |
발전 | 6세기 ~ 8세기, 전성기 |
쇠퇴 | 8세기 이후 로마 가톨릭교회 영향력 강화로 점차 쇠퇴 |
영향 | 현재까지도 켈트 문화에 깊은 영향 미침 |
주요 인물 | |
성 패트릭 | 아일랜드 기독교 전파에 큰 역할 |
성 콜룸바 | 스코틀랜드 기독교 전파에 기여 |
성 브리짓 | 아일랜드 수녀원 설립, 여성 성인 |
성 키아란 | 아일랜드 클론마크노이스 수도원 설립 |
성 아이단 | 린디스판 수도원 설립, 노섬브리아 선교 |
논쟁 | |
로마 가톨릭교회와 관계 | 부활절 날짜 계산, 수도사 삭발 형태 등에서 로마 가톨릭교회와 차이점 |
이단 논쟁 | 일부 켈트 기독교 신학이 이단으로 여겨지기도 함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켈트족 켈트 문화 수도원 성인 순례 |
참고 문헌 | |
관련 문서 | 켈트 기독교 아일랜드 기독교 스코틀랜드 기독교 웨일스 기독교 브르타뉴 기독교 콘월 기독교 |
2. 용어의 정의와 논쟁
"켈트 기독교"라는 용어는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이 주제에 대한 글들은 초기 중세 켈트어 사용 지역의 기독교 실태라기보다는, 글이 쓰인 시대를 더 많이 반영하는 경우가 많으며, 현대 학계에서는 많은 개념들이 폐기되었다.[10][11] 특히 켈트 기독교에 대해 두드러지게 언급되는 특징 중 하나는 가톨릭교회와 본질적으로 구별되고, 일반적으로 대립한다는 것이다.[12] 다른 일반적인 주장으로는 켈트 기독교가 교황의 권위를 부정하고, 가톨릭교회보다 권위주의적이지 않았으며, 더 영적이고, 여성에게 더 우호적이며, 자연과 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켈트 다신교를 더 잘 수용했다는 것이다.[12]
코닝은 학자들이 켈트 기독교에 대한 대중적 인식에 영향을 준 세 가지 주요 사상 흐름을 확인했다고 기술한다.
19세기에는 켈트 민족을 하나로 묶고 유럽 대륙의 "로마" 교회와 분리되는, 중요한 조직화된 기독교 단체 또는 종파인 "켈트 교회"가 존재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상당한 학문적 지지를 얻었다.[13] 이러한 견해의 예로는 아놀드 J. 토인비(Arnold J. Toynbee)의 『역사 연구』(A Study of History, 1934-1961)가 있는데, 여기서는 켈트 기독교를 "미완의 서구 문명" – 로마 교회, 바이킹, 노르만인에 의해 뿌리내리지 못한 새로운 사회의 핵심 – 으로 규정했다.[14][15] 다른 학자들은 켈트인에게 고유한 특정 전통과 신념으로 구성된 "켈트 기독교"에 대해 언급했다.[16]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들 모두에 문제점을 발견하였고, "켈트 기독교"라는 용어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1] 현대 학문은 "켈트 교회"의 존재에 대한 생각을 증거 부족으로 전면 거부한다.[16] 실제로, 아일랜드와 영국에는 각기 다른 관행을 가진 고유한 교회 전통이 존재했으며, 아일랜드와 영국 각 지역 내에서도 상당한 지역적 차이가 있었다.[17] 아일랜드와 영국 교회는 공통된 전통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지만, 그 수는 비교적 적었다. 이러한 공통점조차도 해당 지역의 "켈트성" 때문이 아니라, 다른 역사적 및 지리적 요인 때문이었다.[13] 또한 아일랜드와 영국의 기독교인들은 "반로마적"이 아니었다. 켈트 지역은 로마와 교황의 권위를 유럽의 다른 어떤 지역 못지않게 존중했다.[18] 케이트린 코닝(Caitlin Corning)은 "아일랜드와 영국인들은 다른 교회들보다 여성 친화적이거나, 환경 친화적이거나, 더 영적인 것은 아니었다"고 지적한다.[12]
3. 켈트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의 발전
일부는 켈트어를 사용하는 갈라디아의 초기 기독교인들(바울의 갈라디아서 수신자로 추정됨)을 북서 유럽의 켈트 지역의 후대 기독교인들과 연관시킨다.[22]
4. 역사
중세 전승에 따르면 기독교는 1세기에 브리튼에 전파되었다. 길다스의 6세기 저술인 『브리타니아의 멸망과 정복에 관하여』는 기독교 전파 시기를 로마 황제 티베리우스의 통치 후반기로 언급한다.[23] 1854년 아토스 산에서 발견된 칠십인 제자 목록에는 아리스토불루스가 "로마 브리타니아의 주교"로 기록되어 있다.[24] 하지만 중세 기록에 나오는 루키우스 왕, 파건, 데루비안과 아리마태아의 요셉에 대한 이야기들은 현재 대부분 경건한 사기로 여겨진다.
켈트 브리튼인 사이에서 기독교가 확실히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가장 초기의 역사적 증거는 3세기 초 초기 교부인 테르툴리아누스와 오리게네스의 저술에서 찾을 수 있다. 비록 최초의 기독교 공동체는 그보다 수십 년 전에 설립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말이다.
초기 기독교는 여러 종교 중 하나에 불과했다. 토착 신앙과 혼합된 이교의 여러 형태 외에도, 로마 군단 병사들과 이민자들은 미트라교와 같은 다른 종교들을 소개했다. 기독교인들은 여러 시대에 걸쳐 로마의 박해 위험에 처했지만, 브리튼에서 가장 먼저 알려진 기독교 순교자인 성 알반과 "암피발루스"는 아마도 4세기 초에 살았을 것이다. 카를레온 시민인 율리우스와 아론은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 동안 순교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리치필드가 같은 해에 순교한 다른 천 명의 순교자들로부터 유래했다는 민속어원을 뒷받침할 만한 문헌이나 고고학적 증거는 없다.[27]
4세기 초 콘스탄티누스 대제에 의해 기독교가 합법화되고 이후 기독교 황제들에 의해 장려되면서 기독교화가 강화되었다. 런던 주교 레스티투투스 대주교를 포함한 세 명의 로마-브리튼 문화 주교들이 314년 아를의 공의회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8] 다른 주교들은 347년 세르디카 공의회와 360년 아리미눔 공의회에 참석했다. 4세기 교부들의 저술에서도 로마 브리타니아의 교회에 대한 여러 언급을 찾아볼 수 있다. 브리타니아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 교리에 반대했던 펠라기우스의 고향이었다. 생제르망은 펠라기우스파의 이단을 반대하기 위해 섬을 방문했다고 전해진다.
367년경, 대반란으로 하드리아누스 장벽을 따라 주둔한 군대가 반란을 일으켰고, 픽트족이 로마 브리타니아의 북부 지역을 침략할 수 있게 되었다(몇몇 경우에는 합세하기도 함). 이는 아일랜드인과 앵글로색슨족의 해안 공격과 함께 이루어졌다. 로마 속주는 다음 해에 테오도시우스 장로에 의해 탈환된 것으로 보이지만, 많은 로마-브리튼인이 이미 사망하거나 노예로 끌려갔다. 407년, 콘스탄티누스 3세는 자신을 "서로마 제국의 황제"로 선포하고 군단을 갈리아로 철수시켰다. 비잔틴 역사가 조시무스는 콘스탄티누스가 아일랜드인과 앵글로색슨족의 습격과 침략으로부터 지역 방어를 소홀히 한 것이 브리튼인과 갈리아인들이 로마 제국으로부터 완전히 반란을 일으켜 로마 법을 거부하고 켈트 법인 그들의 전통 관습으로 되돌아가도록 만들었다고 주장했다.[29] 410년 서고트족의 로마 약탈 이후 로마의 권위는 크게 약해졌다. 중세 전설은 브리튼 왕 보르티게른이 고용한 용병 헹기스트와 호르사에게 광범위한 앵글로색슨족의 이민을 돌렸다. 앵글로색슨족 공동체는 게르만 이교의 한 형태인 앵글로색슨 이교를 따랐고, 기독교 브리튼인들을 웨일스, 콘월, 브르타뉴로 몰아내거나 공식적인 교회가 없는 왕국 아래 복속시켰다.
thumb의 요새 문 앞에 있는 컬럼바']]
5세기와 6세기 브리튼은 기록이 부족하지만 웨일스에서 "성인의 시대"를 맞이했다. 성 두브릭, 성 일투드 등이 웨일스의 기독교화를 완성했다. 잉글랜드의 색슨족에게 선교할 의향이나 능력이 없는 브리튼 난민과 선교사들, 예를 들어 성 패트릭과 클로나드의 피니안은 아일랜드의 기독교화를 담당했고,[30] 브르타뉴의 일곱 창시자 성인을 구성했다.[31] 아일랜드인들은 차례로 픽트족과 잉글랜드인을 기독교로 개종시켰다. 성 컬럼바는 달리아타와 스코틀랜드의 다른 사람들의 개종을 시작했지만, 성 먼고와 같은 토착 성인들도 등장했다. 콘월의 역사는 더 모호하지만, 토착 교회는 성 페트록, 성 피란, 성 브레카와 같은 웨일스와 아일랜드 선교사들에 의해 크게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535년~536년의 극심한 기상 현상과 그에 따른 기근과 질병, 특히 547년경 웨일스와 548년경 아일랜드에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이 도착한 것이 이러한 선교 활동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32]
"성인"이라는 칭호는 브리튼, 아일랜드, 잉글랜드 기독교인들에 의해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제럴드 오브 메이오가 3,300명의 성인을 관할했다는 아일랜드 기록과 바드시 섬에 20,000명의 유해가 있다는 웨일스의 주장이 그 예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 칭호는 어떤 교회 정착지의 설립자에게 주어졌고, 그곳은 그들의 llan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공동체는 부족 모델에 따라 조직되었다. 창시자 성인들은 거의 변함없이 지역 왕조의 하급 구성원이었고, 결혼한 경우가 드물지 않았으며, 그들의 후계자는 종종 그들의 친족 중에서 선택되었다.[34] 6세기, "웨일스 삼부작"(브리찬, 쿠네다 웰레디그, 카우)은 그들의 가문과 씨족을 위해 많은 지역 실루리아 통치자들을 대체했다.[34] 어떤 추산에 따르면,[35] 이러한 전통은 웨일스에서 지역적으로 존경받는 800명 이상의 기독교 성인을 만들어냈지만, 색슨족, 아일랜드인, 바이킹, 노르망인 등의 침략으로 많은 교회 기록이 파괴되었다. 로마와의 거리, 토착 관습과 종교에 대한 적대감, 지역 교구의 상대적 중요성이 부족하여 로마 일반 달력에는 성 데이비드와 성 위니프레드 두 명의 웨일스 성인만 남아 있다.
섬 기독교는 특히 부활절 논쟁의 계산과 관련하여 독특한 전통과 관습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가장 분명한 불화의 징후를 보여주었다.[36] 오래된 방법과 새로운 방법은 일반적으로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 체계를 따르는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부활 축제를 시작하는 반면 다른 기독교인들은 사순절을 계속해서 엄숙하게 지켰다. 기독교 수도원주의가 널리 퍼졌다. 랜다프 헌장은 남동부 웨일스에만 50개 이상의 종교 재단을 기록하고 있다. clasau는 다소 소박한 일이었지만, 랜트윗 메이저(`Llanilltud Fawrcy`), 뱅고어 대성당, 이오나에서도 위대한 수도원과 수도원 학교가 발전했다. 삭발은 다른 곳과 달랐고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점점 중요해지는 차이점은 교회 조직의 성격이었다. 일부 수도원은 결혼한 성직자에 의해 이끌어졌고, 종교 직책의 상속이 일반적이었으며(웨일스에서는 12세기 후반까지),[38] 사생자는 아버지가 자녀를 인정하기만 하면 형제들과 동등한 몫을 상속받을 수 있도록 훨씬 관대하게 다루어졌다. 잉글랜드에 정복되기 전 대부분의 교회는 주교와 사제에 대한 기록을 가지고 있지만 확립된 교구 시스템은 없었다. 정복 이전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정기적인 예배에 참석하지 않고 수도원 공동체 구성원이 때때로 지역을 순회하며 설교하는 데 의존했다.[38]
고대 로마 제국 시대 영국에는 기독교가 한때 퍼졌으나, 로마 군단이 대륙으로 철수하고 이교도 앵글로색슨족이 침입하자 기독교는 영국에서 사라졌다. 아일랜드에서는 성 패트릭이 기독교를 전파했다고 전해진다. 아일랜드에서의 기독교 개종은 토착 종교를 주관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즉, 기독교는 토착 종교를 부정하지 않고 관용적인 형태로 서서히 침투해 들어갔던 것이다. 이교도 앵글로색슨 영국을 다시 기독교화한 것은 로마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파견한, 597년 켄트에 상륙한 캔터베리의 아우구스티누스가 이끄는 선교단만이 아니었다. 아일랜드에서 헤브리디스 제도로 건너간 성 콜룸바가 건립한 아이오나 수도원은 스코틀랜드를 기독교화했고, 아이오나에서 노섬브리아로 이식된 린디스펀 수도원은 북부 영국을 개종시켰다. 또한 이들 수도원에서 수도원 제도가 바다를 건너 현재 네덜란드와 독일까지 전파되었다. 중세 교회의 중심이 된 아이오나 수도원과 린디스펀 수도원이 9세기에 바이킹의 잇따른 습격으로 황폐해지자, 언젠가부터 베네딕토 수도회 수도원으로 대체되고 토착 종교색은 사라졌다.
4. 1. 웨일스

6세기 말, 그레고리오 1세는 캔터베리의 아우구스티누스를 이끄는 선교단을 파견하여 앵글로색슨족을 개종시키고, 토착 교회에 대한 교황의 권위를 재확립하려 했다.[39] 아우구스티누스는 브리튼 주교들과 회의(체스터 공의회)를 가졌으나, 부활절 날짜 계산, 세례 의식, 선교 참여 등의 문제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39] 브리튼 주교들이 아우구스티누스를 거부한 주된 이유는 그의 교구가 앵글로색슨 켄트 왕국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이다.[40]
노섬브리아 왕국의 이교도 왕 애덜프리스에 의해 수백 명의 브리튼 성직자들이 체스터 전투에서 사망한 사건은, 베다에 의해 캔터베리의 아우구스티누스가 한 예언이 성취된 것으로 여겨졌다.[41]
브리튼인들은 약 768년경 엘포드가 대주교로 있을 당시 그위네드에서 로마와 색슨의 부활절 계산법(computus|label=nonela)을 채택했다. 웨일스에 대한 노르만 정복은 마침내 웨일스 교구를 잉글랜드의 통제하에 두었다.
성행전에 따르면, 일투드와 그의 제자 데이비드 성인, 길다스, 데이니올은 6세기 브리튼의 주요 인물이었다.
카독은 5세기 후반에 란카르판을 세웠는데, 이곳은 남웨일스에서 가장 유명한 종교 시설 중 하나가 되었다.[86] 일투드는 란트윗 메이저에 수도원을 세웠고, 이 수도원은 헌신뿐만 아니라 학문도 강조했다. 그의 동료 학생 중 한 명은 폴 아우렐리안이었다.[88] 길다스는 카독에 의해 수도원에서 강의를 하도록 초청받아 1년 동안 그곳에서 지냈다.[86] 일투드의 가장 주목할 만한 제자 중 한 명은 돌의 삼손 성인이었다.
데이비드 성인은 서쪽 바다의 곶에 그의 수도원을 세웠다. 이곳은 섬 기독교의 중심지가 되기에 좋은 위치였다. 알프레드 대왕이 그의 궁정을 위한 학자를 찾았을 때, 그는 세인트 데이비드의 애서를 불렀다. 데이비드와 동시대 인물로는 테일로 성인, 카독, 파다른, 베우노, 티실리오 등이 있었다. 아일랜드인들은 의례와 규율 문제에 대해 일투드와 그의 후계자들에게서 지침을 구했다. 클로나드의 피니안은 글러머건의 란카르판에서 카독 밑에서 공부했다.
4. 2. 스코틀랜드
베다에 따르면, 성 니니안은 360년경 현재의 갤러웨이에서 노반타에 부족장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기독교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투르의 마르티누스 밑에서 수학한 후, 397년경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는 휘턴에 정착하여 "칸디다 카사"라는 돌로 된 교회를 건립했다.[46] 전승에 따르면 니니안은 휘턴의 칸디다 카사에 주교좌를 설치하고 투르의 성 마르티누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그는 남쪽 픽트족을 기독교로 개종시켰으며, 432년경 사망했다. 클론의 티게르나크, 클론맥노이스의 키아란, 모빌라의 피니안과 같은 많은 아일랜드 성인들이 "칸디다 카사"에서 수학했다. 니니안의 사업은 픽트족을 위해 일하기 위해 아일랜드를 떠난 팔라디우스에 의해 계속되었다. 남쪽 픽트족에 대한 선교는 몇 가지 좌절을 겪은 것으로 보이는데, 파트릭은 코로티쿠스와 "배교한 픽트족"이 아일랜드 해안을 습격하고 기독교인들을 노예로 잡아갔다고 비난했다. 터넌과 성 서프가 팔라디우스를 계승했다. 서프는 스트래스클라이드의 사도이자 글래스고의 수호성인인 성 뭉고의 스승이었다.[47]
4. 3. 콘월과 서부 데번
성 페트록은 아일랜드에서 교육받은 웨일스 귀족 출신이다. 그는 몇몇 추종자들과 함께 작은 배를 타고 일종의 순례를 떠났는데, 바람과 조류에 의해 패드스토 강어귀에 도착했다.[48] 글렌달로흐의 케빈은 페트록의 제자였다. 성 엔델리엔타는 웨일스 왕 브리찬의 딸로, 콘월로 여행하여 현지인들에게 복음을 전했다. 그녀의 형제인 하틀랜드의 넥탄은 데번에서 활동했다. 성 피란은 주석 광부들의 수호성인으로, 아일랜드인 키아란이 방앗간 돌에 묶인 채 바다에 던져진 후 콘월로 '떠내려왔다'고 전해진다. 그는 때때로 사이지르의 키아란과 동일시되기도 한다.[49]4. 4. 아일랜드
5세기 초,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지 않았던 아일랜드에 기독교가 전파되었다. 431년 로마가 파견한 최초의 선교 주교인 팔라디우스가 도착하기 이전에도 아일랜드에는 기독교인이 있었다. 성 파트리크[50]는 아마를 비롯한 여러 도시에 교회를 설립하고, 주교, 사제, 부제로 구성된 교구 조직을 확립하여 아일랜드의 기독교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51][52] 5세기 후반과 6세기 동안에는 수도원이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53] 아일랜드 교회는 라틴어 외에도 고대 아일랜드어의 서면 형태를 개발했다. 브리기드(약 451년 – 525년), 몰루아그(약 510년 – 592년, 오늘날 스코틀랜드 지역에서 복음을 전파함), 카일린(약 570년 활동) 등도 아일랜드 기독교 발전에 기여했다.5. 보편적 관행
브리튼과 아일랜드 교회는 대륙 교회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공의회의 정통 신앙을 따랐다. 섬 기독교의 관습과 전통 중 부활절 날짜 계산이 가장 큰 논쟁거리였다.[54] 부활절 날짜는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르게 해결되었는데, 그 시기는 다음과 같다.[55]
지역 | 해결 시기 |
---|---|
아일랜드 남부 | 626-628년 |
아일랜드 북부 | 692년 |
노섬브리아 (아일랜드 선교사에 의해 개종) | 664년 |
동데번과 서머싯, 웨섹스 지방의 브리튼인 | 705년 |
픽트족 | 710년 |
이오나 | 716-718년 |
스트래스클라이드 | 721년 |
북웨일스 | 768년 |
남웨일스 | 777년 |
콘월은 가장 오랫동안 저항했는데, 어떤 지역에서는 크레디턴의 에드울프 주교(909년) 시대까지도 저항했다.[55]
독특한 아일랜드의 참회 제도는 결국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 의해 교회의 보편적인 관행으로 채택되었다.
6. 범 켈트적 전통
케이틀린 코닝(Caitlin Corning)은 아일랜드와 영국 교회에서 공통적으로 행해졌지만 기독교 세계의 다른 곳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네 가지 관습을 확인했다.[56]
중세의 켈트 교회는 정통 가톨릭이 세속 사회의 교화를 위해 주교 제도를 중시한 것과 달리, 주교보다 수도원이 교화에 앞장서는 것을 선호했다. 교리 면에서도 부활절 날짜 계산 등에서 가톨릭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회는 하이크로스(High Cross)를 상징으로 사용했다. 이것은 원형이 새겨진 십자가이며, 비슷한 특징을 가진 십자가는 몰타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스코틀랜드의 아이오나 수도원, 북부 잉글랜드의 린디스펀 수도원, 아일랜드의 다로 수도원에서는 나선형, 띠 모양, 동물 문양 등 명확한 이니스켈 수도원 양식의 전통을 가진 화려한 장식 사본을 만들어냈다. 「켈스의 책」, 「린디스펀 복음서」, 「다로의 책」이 잘 알려져 있다.
7. 그 외 브리튼과 아일랜드의 전통
아일랜드와 브리튼 전역에는 다양한 고유 전통과 관습이 존재했지만, 이들이 해당 지역 전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77]
수도원 중심주의:아일랜드에서는 수도원이 교회 권력의 중심이었으며, 수도원장이 주교보다 더 큰 권위를 갖는 경우가 많았다.[12][78] 6세기 수도 운동의 성장에 따라 수도원장들은 개별 수도원뿐만 아니라 광대한 토지와 그것을 관리하는 세속 공동체도 통제하게 되었다.[80] 수도원장은 보통 아일랜드 왕족 출신이었으며, 수도원 설립 규정에는 수도원장직을 가능하면 한 가계 내에서 유지해야 한다는 내용이 종종 명시되어 있었다.[81]
그러나 이러한 수도원 중심주의는 아일랜드에 국한된 현상이었으며, 영국 교회는 기독교 세계 다른 곳에서 사용되는 모델과 밀접하게 일치하는 주교 구조를 사용했다.[12][78]
투과성 수도원 제도:아일랜드 수도원 제도는 그 투과성으로 유명했다. 사람들은 인생의 여러 시점에서 수도원 제도를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었으며, 어린 소년 소녀들은 라틴어 학문을 배우기 위해 수도원에 들어왔다. 성인이 된 학생들은 수도원을 떠나 자신의 삶을 살다가, 수도원이 제공하는 안전한 공동체로 돌아와 죽을 때까지 머물기도 했다. 일부는 수도원에 남아 지도자가 되었다. 성직자의 대부분이 아일랜드인이었기 때문에 토착 전통이 존중되었고, 이는 아일랜드에서 세속적 요소와 수도원적 요소의 규범을 융합하는 데 기여했다.[85]
클라스(Clas):웨일스에서는 부족 모델에 따라 조직된 교회 공동체를 의미하는 클라스(Clas)가 있었다. 창시자 성인의 친족이 종교 직책을 상속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주교직, 대성당 참사회원직, 그리고 교구 사제직은 같은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그리고 종종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졌다.[87]
섬 문화 예술:섬 문화 예술(insular art)은 삽화 사본(illuminated manuscript) (예: 켈스의 책(Book of Kells)), 높은 십자가(high cross), 그리고 아르다 켈리스(Ardagh Chalice)와 같은 금속 공예품 등 독특한 예술 양식이 발전했다.[89] 사본은 수도원에서 제작되었고, 금속 공예품은 수도원과 왕실 공방, 그리고 세속적인 상업 공방에서도 제작되었다.[90]
8. 켈트 기독교 부흥 운동
이안 브래들리는 중세 섬 기독교에 대한 반복적인 관심이 "켈트 기독교 부흥 운동"이라 불리는 연이은 부흥 운동들을 낳았다고 지적한다.[102] 그는 켈트 정교회의 설립을, 자치적인 기독교 교파 안에서 "켈트 기독교의 독특한 교리"를 유지하려는 노력으로 언급하며, 이 교회는 시리아 정교회와 관계를 유지한다.[103]
브래들리에 따르면, 대부분의 부흥 운동가들은 켈트족이 아닌 사람들로, 켈트 기독교에 대해 "이국적이고 주변적인" 매력을 느낀다.[102] 이들은 자신들의 부흥 운동이 진정한 켈트 기독교의 실천과 특징을 회복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현대적인 관심사와 편견을 훨씬 더 반영하며, 대부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파와 국가적 경쟁, 교회와 세속 권력 정치, 그리고 반 가톨릭적 의제에 의해 영감을 받고 추진된다"고 브래들리는 지적한다.[104] 이러한 운동들의 신념은 종종 부정확하거나 왜곡되었지만, 역사적인 켈트 기독교에 대한 대중적인 개념에 큰 영향을 미쳤다.[104]
브래들리는 켈트 기독교 부흥 운동의 기원을 중세로 거슬러 올라간다. 8세기와 9세기에 저술가들은 이전 성인들의 이상화된 전기(행적기)를 썼는데, 그들의 특별한 경건함의 "황금기"는 후대의 부패와 대조되었다. 12세기와 13세기의 문학 부흥은 아서왕 전설과 같은 오래된 켈트 전통을 대중화하고 낭만화했다. 영국 종교 개혁 기간에 프로테스탄트 저술가들은 자신들의 운동에 대한 토착적인 반 로마적 선구자로서 "켈트 교회"라는 개념을 차용하면서 이러한 아이디어는 확장되었다.[105]
18세기와 19세기에 골동품 연구가주의, 낭만주의 운동, 그리고 성장하는 민족주의는 "켈트 기독교"로 알려지게 된 것에 대한 생각에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초부터 아이오나 섬을 중심으로, 아일랜드 문예 부흥과 더 일반적인 기독교 부흥 운동의 영향을 받아 본격적인 부흥 운동이 시작되었다. 20세기 말까지 또 다른 열풍이 시작되었는데, 이번에는 뉴에이지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105] 오늘날, 아일랜드와 같은 국가에서 확립된 교회의 참여자들과 독립적인 그룹 모두에서 "켈트 기독교"와의 자기 동일시와 사용이 일반적이다.[107] 20세기에 가톨릭이나 프로테스탄트와는 다른 중세 교회로의 회귀 운동이 그 성지인 아이오나와 린디스판에서 시작되어 미국에서도 인기를 얻게 되었다. 이 운동은 자연애, 교리의 부재, 타종교에 대한 관용과 우호성을 특징으로 하며, 오컬트적 경향이 있다.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The Celtic Church
Audio Learning Tapes
[5]
논문
[6]
논문
[7]
서적
Die Christianisierung Europas im Mittelalter
https://books.google[...]
Reclam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서적
A Study of History: Abridgment of, Volumes 1–6
Oxford U Press
1987
[15]
간행물
IRELAND AND THE CELTIC PEOPLES IN TOYNBEE'S ‘STUDY OF HISTORY’
www.jstor.org/stable[...]
2020-08-02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서적
Representing Irish Religious Histories: Historiography, Ideolog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02-04
[23]
서적
Six Old English Chronicles
s:The Ruin of Britai[...]
Henry G. Bohn
[24]
서적
Ante-Nicean Fathers
Hendrickson Publishers
1999
[25]
웹사이트
St. Alban the Martyr
http://www.roca.org/[...]
2013-11-21
[26]
웹사이트
Anglo-Saxon Chronicles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7]
웹사이트
Explaining the origin of the 'field of the dead' legend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2008-11-20
[28]
웹사이트
1400th anniversary of the re-organisation of the Diocese of London
http://rowanwilliams[...]
2004-05-22
[29]
서적
An Age of Tyrants: Britain and the Britons A.D. 400–600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8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웹사이트
Reviews and comments on ''The Book of Welsh Saints''
http://www.walesbook[...]
[36]
논문
[37]
논문
[38]
웹사이트
Early Christianity in Wales
http://history.powys[...]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위키소스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Nation. Book 1 Chapter XXII
https://wikisource.o[...]
J.M. Dent; E.P. Dutton
[45]
서적
A Distant Mirror
Ballantine Books
1978
[46]
웹사이트
Saint Ninian
http://www.whithorn.[...]
2011-07-18
[47]
웹사이트
Butler, Alban. "The Lives of the Saints", Vol. VII, 1866
http://www.bartleby.[...]
2023-01-12
[48]
웹사이트
The Story of St. Petroc
http://www.padstowpa[...]
2013-08-20
[49]
백과사전
Saint Ciaran of Saigir
http://www.ccel.org/[...]
[50]
서적
Life of St. Patrick and His Place in History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08-12
[51]
논문
[52]
문서
[53]
논문
[54]
논문
[55]
서적
Councils and Ecclesiastical Documents Relating to Great Britain and Ireland
Oxford
1869–78
[56]
논문
[57]
서적
The Life of Constantine
Signature Books
1996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서적
Councils and Ecclesiastical Documents Relating to Great Britain and Ireland
Oxford
1869–78
[66]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논문
Gamer
[72]
논문
Gamer
[73]
논문
Gamer
[74]
논문
[75]
논문
[76]
학술지
The Spirituality of the Celtic Church
http://www.spiritual[...]
1985-09-01
[77]
서적
Venerablilis Baedae, Historiam Ecclesiasticam Gentis Anglorum
Oxford University Press
[78]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Youngs
[82]
논문
[83]
논문
[84]
논문
[85]
서적
Early Christian Ireland: Ancient Peoples and Places
Frederick A. Praeger
[86]
백과사전
Welsh Monastic Foundation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2-01-01
[87]
서적
A History of the Welsh Church to the Dissolution of the Monasteries
Elliot Stock
1895-01-01
[88]
백과사전
Welsh Church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2-01-01
[89]
논문
[90]
논문
[91]
논문
[92]
논문
[93]
논문
[94]
논문
[95]
논문
[96]
논문
[97]
서적
The Sacramental Church: The Story of Anglo-Catholicism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1-02-09
[98]
논문
[99]
논문
[100]
서적
The Rise of the Medieval Church
G. P. Putnam's Sons
[101]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Oxford University Press
[102]
논문
[103]
서적
Following the Celtic Way: A New Assessment of Celtic Christianity
Augsburg Books
2020-01-01
[104]
논문
[105]
논문
[106]
서적
Celtic Christian communities : live the tradition
https://www.worldcat[...]
Northstone Pub
2000
[107]
서적
Ireland's new religious movements: Alternative Spiritualities, Migrant Religions, the New Age and New Religious Movements
Cambridge Scholars
2011
[108]
harvard
2006
[109]
harvard
2006
[110]
harvard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